목록인류학 (2)
독수리 요새
프리드리히 엥겔스, 《가족·사적 소유·국가의 기원》 0. 기본 개념 사적 유물론 - 하부구조가 상부구조를 결정한다, 생산 관계의 변천이 역사 발전을 좌우한다 루이스 헨리 모건 《고대사회》의 친족체계론 1. 사회 단계 - 야만(barbarism): 자연 산물을 획득. 인간 생산물은 획득을 위한 보조 도구 - 미개(savage): 목축·농경. 인간 활동을 통해 자연 산물의 생산을 증대 - 문명(civilization): 공업과 기술을 통해 자연 산물을 가공 2. 가족제도의 역사적 변천 (1) 군혼 무규율적 성교. 짝짓기 대상에 제한이 없다. 아버지는 불명확하나 어머니는 명확하다. 모계만 인정되는 모권제 사회다.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에도 나오는 초야권은 바로 이 군혼의 잔재다. (2) 혈연 가족 선후대 간..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 《미개 사회의 범죄와 관습》(참여관찰과 기능주의로 얻은 '원시법'의 이해) 1. 호혜성과 전시성의 원리 말리노프스키 이전의 인류학 연구에 따르면 원주민 사회의 법체계에는 금기 위반을 제재하는 형법만이 존재한다. 말리노프스키는 이를 본격 반박했다. 그는 트로브리앤드 군도에서 본격적인 참여관찰을 수행한 결과, 원주민 사회에도 서구의 민법에 해당하는 유연하고도 구속력 있는 의무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였다. 이 의무는 호혜성(reciprocity)과 전시성(publicity)이라는 적극적 원리에 지배받는다. 쉽게 말해 서로에게 좋은 일을 해주고 그 티를 팍팍 내서 자신의 체면과 권위를 세워야 한다는 원리다. 물론 원시 사회에도 터부, 금지 등의 부정적이고 소극적 성격을 띠는 형법이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