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둔황 (11)
독수리 요새
아우구스투스 프레데릭 루돌프 회른레: 1821년 인도에서 태어남. 독일계 성공회 선교사의 아들. 런던에서 산스크리트어를 배웠고, 당시 영국령 인도의 수도였던 캘커타에서 학문 연구. 인도 고문서 해독에 천부적인 재능을 갖고 있었다. 영국 편에서 고문서 수집 경쟁에 참여했다. 희대의 고문서 위조범인 이슬람 아훈에게 깜빡 속는 바람에 뻘논문까지 쓰게 되지만, 동료 학자들이 슬쩍 넘어가줌. 개이득~ (오렐 스타인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클릭)바우어 고사본 일부. 위키피디아 펌. (이미지 클릭) 바우어: 인도 육군 정보부 장교. 스코틀랜드 탐험가인 앤드루 댈글라이쉬(Andrew Dalgleish)를 청부 살해한 범인을 찾기 위해 수색하던 중, 굴람 카디르라는 현지인으로부터 51매의 자작나무 껍질로 된 문서를 사서 캘..
심히 일이 없으므로 심심함을 금치 못하여 메모장에 딴짓을 한다. 오늘은 랭던 워너와 내가 만난 그 가족 이야기를 조금 더 써보겠다. 사실 진작에 썼어야 할 이야기지만 게으른 관계로… 랭던 워너(Langdon Warner). 미국 매사추세츠 태생의 동양미술학자로 인디애나 존스의 모델이 된 인물 중 하나다. 피터 홉커크의 《실크로드의 악마들》을 보면 기차에 치어 죽을 뻔한 사람을 잽싸게 구해내고 표표히 사라지는 폭풍간지를 지녔던 분이다. 내 친구의 외증조할아버지이기도 하다. 친구의 얘기에 의하면 심리학자 윌리엄 제임스, 《롤리타》의 작가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와도 교류가 있었던 듯 하다. 윌리엄 제임스는 확실하고 나보코프 부분은 조금 가물가물한데 나중에 물어봐야겠다. 여하간 그 시대 사람이었다. 랭던 워너는 하..
친구가 오랜만에 이메일을 보내줬다. 둔황 막고굴을 3D 재구해놓은 사이트가 있다고 좋아할 거라며. http://www.e-dunhuang.com/index.htm 들어가봤더니 와 진짜 이건 제대로다. 막고굴 각 감실을 360도로 구경할 수 있음. 초고해상도 출력은 덤. 요건 249번 굴에 있는 벽화. 왠지 무용총이 생각나서 + 궁수 이미지를 좋아해서 가져왔다. 활 쏘는 건 굉장한 집중력을 필요로 하는 정신 활동이면서도 신체적인 자세는 팽팽하고 역동적이다. 이런 모순적인 이중성을 좋아한다. 중국 불교 벽화에서 사용하는 저 파스텔톤 조합을 아주 좋아한다. 교환학생으로 베이징에 있을 당시에 삼촌 가족도 베이징에 사셨는데, 대동 운강석굴이 기차로 가깝다면서 갔다 오라고 추천해 주셨다. 수업 째고 우연히 가봤다가..
프랑스 파리 기메박물관에 갔더니 문헌학자 펠리오의 둔황 막고굴 컬렉션은 생각보다 양이 적었다. 알프레드 푸세, 조셉 하킨 같은 고고학자들이 아프가니스탄에서 가져온 간다라 양식 조각상이 훨씬 많았다. 집에 돌아와서야 천천히 조사를 해보다가 생각보다 내용이 재미있길래 《간다라 미술》이라는 도해집을 빌려왔다. 1999년도에 예술의전당에서 파키스탄 정부의 후원을 받아 개최한 전시회의 도록이다. 도해집이라 기본적으로 사진이 많고, 앞에 붙어있는 이주형 교수의 소개글이 읽어볼 만하다. 그 내용을 간추리고 이미지를 추가해서 정리했다. 1. 알렉산더 대왕의 동방 원정 간다라 미술을 이야기하려면 알렉산더 대왕의 동방 원정을 빼놓을 수 없다. 알렉산더 대왕은 지중해의 마케도니아에서 서아시아를 지나 힌두쿠시 산맥을 넘어 인..
파리에 간 첫 번째 이유, 국립 기메 동양 박물관! 프랑스 국립도서관에는 폴 펠리오가 둔황에서 가져온 문헌이 그득하다면, 이곳에는 유물이 모여 있다. 런던에서 유로스타를 탔는데 도버 해협의 해저터널로 들어가는 순간에는 바보같이 실컷 잤다. 깨 보니 이미 파리 근처였고, 숙소에 짐을 두고 기메 박물관으로 가니 4시 무렵이었다. 기메 박물관은 리옹 출신의 실업가이자 동양 예술 애호가였던 에밀 기메가 설립했다. 인도, 중앙아시아,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지역의 많은 예술품들이 전시돼 있다. 아시아 외부에 있는 아시아 예술 박물관 중에서 최대 컬렉션을 자랑하는 곳 중 하나다. 1945년도에 이집트 예술품을 루브르로 넘겨주고 루브르로부터는 아시아 예술부에 있던 문화재를 넘겨받았다. 이곳 지하에는 아시아 고고학, 미..
올해 8월 중순 런던이랑 같이 갔던 파리에서는 국립 기메 동양 박물관과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가서 폴 펠리오(Paul Pelliot) 컬렉션을 볼 작정이었다. 기메 박물관에는 펠리오가 중앙아시아에서 가져온 미술품이, 프랑스 국립도서관의 리슐리외관에는 고문서가 있다. 폴 펠리오는 프랑스의 걸출한 문헌학자인데 상당한 천재였다. 중국어를 모르고 한문을 못 읽었던 오렐 스타인과는 다르게 중국어 구어나 고전 한문이나 가릴 것 없이 끝내주게 잘했다. 탐험 직전의 막간 몇 주를 이용해서 위구르어를 익힐 정도로 언어감각이 탁월했고 아시아 고문헌에도 통달했던 젊은 학자였다. 펠리오가 둔황 막고굴 장경동에 처음 갔을 때 하도 중국어를 잘해서 문을 지키고 선 왕원록 도사를 아주 기가 질리도록 만들어 버렸다고 한다. 장경동에 ..
올해 6월 초 백야 때 스톡홀름이랑 같이 상트페테르부르크도 갔었는데 이제 올린다. 나는 글쓰는 데 진짜 게으르고 특히 여행기 같은 사사로운 이야기는 길게 못 쓴다. 정말로 아름다운 곳에서 잘 놀고 푹 쉬다 왔으니 지금 와서 글로 남기든 말든 아무런 관계 없지만, 사진첩 정리하다 보니까 홀랑 까먹기 전에 조금 남겨놓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네 번째 상트페테르부르크였다. 회사 사람들은 왜 자꾸 러시아를 가냐고 하기 때문에 그냥 스톡홀름 갔다왔다고 했다. 임원 한 분이 내가 러시아 다니는 걸 희한하게 여겨서 소문을 내신다. 사적인 대화 한 마디 해본 적 없는 옆팀 팀장이 그 분한테 들었는지 워크샵에서 갑자기 "그렇게 러시아가 좋으면 주재원 하나 잡아요. 내가 보기에 주재원 와이프가 팔자 최고야." 이러길래 양..
영국도서관은 대헌장, 구텐베르크 성경,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등등 엄청난 문서들의 원본을 소장하고 있는 명실상부 세계 최대의 도서관이다. 소장품 중에 금강경(Diamond Sutra)은 특히 빼놓을 수 없다!! 이게 바로 오렐 스타인이 둔황 막고굴 장경동에서 빼돌려간 보물 중의 보물인데, 연도가 알려져 있고(AD 868) 인쇄 형태로 된 온전한 문서 중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 메이저 중의 메이저라 박물관 내 Sir John Ritblat Gallery에 가면 디지털 버전으로 볼 수 있지만 온라인의 Turning the Pages 서비스로도 볼 수 있다. 구경해 봤는데... 놀랍다!! 와우 이것이 바로 제국의 위엄인가!!! 이것이 바로 오렐 스타인이 꼬불쳐온 금강경. 아버지한테 보여드리니 줄줄 외우..
스벤 헤딘이 구한말 경성을 방문한 적이 있다는 정보를 입수했다. 이 사실은 스웨덴 스톡홀름 대학의 한국학자인 스테판 로젠이 정리하여 권영필 교수의 정년퇴임 기념논총에 〈스벤 헤딘, 한국, 그리고 포착하기 어려운 중앙아시아〉라는 제목으로 기고했다. 이 짧은 글은 《중앙아시아의 역사의 문화》라는 단행본에서 읽을 수 있다. 오늘 정독도서관에서 빌려왔고, 이 글 대부분은 그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스테판 로젠 교수는 당시, 권영필 교수의 제자인 민병훈 국립청주박물관장과 함께 스웨덴 민족학 박물관에서 공동 자료 수집을 했다고 한다. 이번에 나는 못 만나뵌 Mr. Håkan을 이 분들은 이미 꽤 오래 전에 만난 것이야!!! 스벤 헤딘의 서재도 다 본 거야!!! 부럽다!!!! ▲ 하칸 발퀴스트 교수, 스테판 로젠 교..
오렐 스타인은 1862년 헝가리에서 태어난 고고학자로,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산스크리트어와 페르시아어를 전공했다. 1887년부터 영국령 인도의 라호르에서 근무하다가 영국 국적자가 되었다. 1900년부터 약 30년 동안 중국령 중앙아시아로 네 번의 탐사를 했고, 주로 천산남로와 둔황 및 투르판에서 연구와 발굴 작업을 하였다. 어린 시절부터 알렉산더 대왕의 동방 원정과 현장법사, 그리고 마르코 폴로의 탐험 이야기에 매료되어 이란, 인도, 투르크, 중국 문명이 교차하는 중앙아시아 지역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1900-1901년에 걸친 첫 번째 탐사에서는 호탄, 니야, 미란, 누란 등의 실크로드 오아시스를 방문했다. 스타인은 바로 이때 미란 유적에서 날개달린 천사 벽화를 발견하고(이전글 클릭) 유럽과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