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헬레니즘 (3)
독수리 요새
5. 그리스-박트리아 왕국의 아이 하눔 유적 1960년대 이전에는 그리스계 왕들의 화폐 같은 소수 유물만이 그리스-박트리아 왕국이 존재했다는 사실을 암시해 주었다. 1964년에 시작된 아프가니스탄 북부 아이 하눔 유적의 발굴을 통해서 드디어 이 왕국의 전모가 드러난다. 아이 하눔에서는 아크로폴리스가 갖춰진 그리스풍 도시, 코린트식 열주가 있는 석조 건축물, 그리고 고전 양식의 신상과 인물상이 발견되어 그리스 헬레니즘 문화의 영향을 실증해 주었다. 6. 사카-파르티아 시기의 탁실라 유적 인더스강 동안에 있는 탁실라에서도 그리스인의 도시가 발견됐다. 이 지역에는 Bhir Mound, Sirkap, Sirsukh등의 도시 유적이 남아있는데, 사카-파르티아 세력이 그리스-박트리아인의 뒤를 이어 지배한 시기의 유..
프랑스 파리 기메박물관에 갔더니 문헌학자 펠리오의 둔황 막고굴 컬렉션은 생각보다 양이 적었다. 알프레드 푸세, 조셉 하킨 같은 고고학자들이 아프가니스탄에서 가져온 간다라 양식 조각상이 훨씬 많았다. 집에 돌아와서야 천천히 조사를 해보다가 생각보다 내용이 재미있길래 《간다라 미술》이라는 도해집을 빌려왔다. 1999년도에 예술의전당에서 파키스탄 정부의 후원을 받아 개최한 전시회의 도록이다. 도해집이라 기본적으로 사진이 많고, 앞에 붙어있는 이주형 교수의 소개글이 읽어볼 만하다. 그 내용을 간추리고 이미지를 추가해서 정리했다. 1. 알렉산더 대왕의 동방 원정 간다라 미술을 이야기하려면 알렉산더 대왕의 동방 원정을 빼놓을 수 없다. 알렉산더 대왕은 지중해의 마케도니아에서 서아시아를 지나 힌두쿠시 산맥을 넘어 인..
보려고 노리고 있던 전시인데 마지막 날에 드디어 사수했다. 작년에 러시아 고고학자 빅토르 사리아니디의 틸리야 테페 발굴 이야기를 우연히 접한 적이 있는데, 오래지 않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를 해주길래 신기했다. 이 사리아니디의 아프가니스탄 박트리아 유적 발굴에 대해서는 《보물 추적자》라는 책의 첫 번째 챕터에 재밌게 잘 쓰여 있다. 참고로 두 번째 챕터는 중국령 투르키스탄(신장)과 둔황의 실크로드 유물을 가져간 열강 탐험가들 이야기다. 홀이 하나뿐인 크지 않은 전시실에서 열린 특별 전시였는데 볼거리는 풍부했다. 인터넷 사이트와 앱을 통한 무료 오디오가이드도 큰 도움이 됐다. 가장 봐둘 만한 건 틸리야 테페 고분군에서 나온 금관. 국사책에서 익히 봤던 신라나 가야 금관이랑 상당히 비슷하다. 둘 사이에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