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수리 요새

러시아 문학의 맛있는 코드 본문

독서

러시아 문학의 맛있는 코드

bravebird 2015. 8. 3. 00:54

음식이라는 키워드로 러시아 문학 주요 작가와 작품을 살펴본 책이다. 챕터 1 '남의 음식'과 '나의 음식' 부분이 특히 탁월했다. 서구주의와 슬라브주의의 대결로 빚어진 러시아 문화의 이중성을 음식이라는 일상적 소재로 묘파했다. 이 부분에서 예브게니 오네긴 속 음식 이야기에 얽힌 푸쉬킨의 코스모폴리터니즘도 언급된다.


챕터 1을 읽는 내내 왜 러시아에 빠질 수밖에 없었는지, 왜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애착을 느끼게 됐는지 되새겨볼 수 있었다. 누군가 왜 러시아에 매력을 느끼냐고 묻는다면 이 부분을 그냥 펴주는 걸로 설명을 대체할 수 있을 만큼 정확히 핵심을 짚은 글이었다.

남의 것과 나의 것, 이중성, 혼종성 이 개념들은 내 관심분야 대부분과 취향과 사고방식을 지배하고 있다. 전공선택도 언어선택도 다 이것들이 작용한 결과이다. 챕터 1 한번 천천히 더 읽고 반납해야지. 만족스러운 독서였다.

또 하나의 핵심키워드인 음식에 대해 "얘기를 안할 수 없으니" 좀 쓰자면.. 난 참 먹을 복은 없구나 싶다. 성격유형검사 같은 걸 해보면 감각이 최열등기능이라고 나오는 사람이라 그런지, 먹고 마시는 구체적인 문제는 종종 후순위로 밀린다. 내게 있어 먹는 것은 생존을 위한 것이지, 미식의 차원에서 즐겁게 누리는 활동이 아니다. 맛있는 것 먹고 누리자고 다들 사는 건데, 뼈빠지게 돈 벌어다가 맛있는 것 안 해먹고 대체 뭐하는 건지 스스로도 가끔 모르겠다.

내가 요리를 할 줄 모르는 것도 마찬가지로 문제다. 살면서 가장 필수적인 활동이 먹는 건데, 그 먹을 것 하나조차 스스로 마련할 줄 모르다니. 언젠가 요리를 익혀서 주변 사람들한테 대접하고 싶은데, 나부터가 먹는 것에 관심이 적은 편이니 언제 실천에 옮기게 될지는 의문이다. 식복을 타고난 대식가들이 부럽다. 그들이 삶에 대해 지니는 강한 애착과 왕성한 기운은 선망할 만한 것이다. 고골은 그 식복 때문에 영혼이 죄책감에 찢겨 죽었다지만...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스토예프스키 관련 옛날 메모  (5) 2015.09.18
또 다른 비스마르크를 만나다  (4) 2015.08.16
러시아의 음악가들  (4) 2015.07.07
치궁 선생 일화  (2) 2015.07.03
우주비행사의 지구생활 안내서  (4) 2015.06.28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