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여행/러시아 (27)
독수리 요새
벨로루스키 역에 도착해서 저번처럼 지하철 타는 곳을 못 찾고 헤맸다. 두리번거리던 중에 누가 한국말로 말을 걸기에 화들짝 놀라서 돌아보니 웬 러시아 아저씨였다. 한국에서 20년 산 분인데, 이런저런 사정으로 집으로 돌아가는 중이라 하셨다. 이름은 블라디미르. 슬라브 계열 성씨가 아닌 것 같은데 배경이 조금 궁금하다. 친해지면 여쭤 봐야겠다. 지하철 표도 하나 사 주시고, 숙소가 있는 키타이 고로드 지하철역까지 짧은 길이지만 동행이 되어 주셨다. 내리기 전에 이메일 주소를 교환했다 도착해서는 쿠즈네츠키 모스트의 어느 바에서 열리는 카우치서핑 모임에 나갔다. 러시아에 코가 꿰이는 바람에 이제 자주 드나들 것 같으니까 현지인들을 만나기 시작해야 하지 않겠나 싶어서 출발 전날밤 급히 가입한 카우치서핑. 떠들썩한..
일리야 레핀, 1901년 5월 7일 국가의회 100주년 기념 국가평의회 크게 보기 레핀의 그림을 아주 좋아하는데 그 중에서 구도의 드라마틱함 측면에서 볼가 강의 배 끄는 인부들과 함께 최고가 아닐까 싶다. 화폭 안에 수십 명의 사람들이 있는데도 당장에 니콜라이 2세에게로 시선이 가 꽂힌다. 황제가 가운데에 있지 않은데도 눈이 그리로 간다. 내가 결코 한 그림 오래 살펴보는 눈썰미 있는 사람이 아닌데도 그랬다. 러시아 박물관 가면 한 전시실의 벽면을 거의 다 차지하고 있는데, 내가 마치 저 안의 조그만 한 부분이 된 것처럼 실내를 가득 장악하고 있는 그림이었다. 놀라운 경험이었다. 미술에 문외한인데다가 러시아 화가 하면 샤갈이랑 칸딘스키밖에 모르고 내 취향도 아니어서 전혀 기대 않고 갔던 게 러시아 박물관..
니콜라이 레릭, Guru Guri Dhar 여름에 모스크바 여행 갔을 때 놓쳤으면 정말 후회했을 뻔한 레릭 박물관. 고골 박물관에서 헤매면서 알렉산드르 아저씨와 인연이 닿지 않았더라면 레릭 박물관을 모르고 지나쳤을 것이다. 아저씨는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델리에서 힌디어와 산스크리트어를 전공하고 인도에서 15년 간 생활했던 인도어학자로, 현재 모스크바 소재 레릭 박물관에 근무하고 있다. 상상해온 전형적인 러시아인이었다. (회청색 눈동자가 유난히 깊고 진지하고 차분하며 일단 이야기를 시작하면 속이야기를 아끼지 않는) 레릭은 영미권에서는 주로 Nicholas Roerich으로 알려져 있고 히말라야 설산과 생각에 잠긴 수도사를 많이 그렸다. 레릭이 사용하는 푸른색과 히말라야의 부드러운 질감을 사랑한다. 이번에 돌아..
일리야 레핀, 자포로지예 카자흐 크게 보기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박물관에서 본 것 중에 어마어마한 아우라로 가장 기억에 남는 작품. 지금 회사 컴퓨터 바탕화면이다. 비율이나 해상도가 절묘하게 맞아떨어져서 도저히 다른 그림으로 바꿀 수가 없을 지경. 카자흐 아저씨들 표정을 하나하나 뜯어보면 주름들이 참 구성지고 웃음에 호쾌함이 뚝뚝 묻어 나오는 것이 박진감이 넘친다. 이 자포로지예 카자흐(페이지 내에서 '자포로제' 검색)들은 지금 우크라이나에 속하는 드네프르강 하류 지역에 살았는데, 이곳에서 오스만 투르크를 무찔렀음에도 불구하고 술탄 메흐메트 4세가 자꾸 자기네한테 머릴 조아리라고 최후 통첩을 보내왔다 한다. 아재들이 그걸 받아보고는 기가 막히고 코가 막힌 나머지, 갖은 욕설을 정성스레 쓸어담아 답장 쓰는..
니콜라이 게, 무엇이 진리인가 (Н.Н.Ге. «Что есть истина?»,1890 г.) 어마어마한 아우라로 가득찼던 트레차코프 갤러리에서도 단연 압도적인 기운을 내뿜던 그림. 예수에게 사형을 선고한 유대 총독 빌라도와 예수를 공간배치, 명암, 체구와 의상 등 모든 면에서 완벽히 대조시키고 있다... 어둠 속에서 두 손이 뒤로 결박된 채 쓸쓸히 서있는 예수의 모습. 보고서 왠지 모르게 이반, 알렉세이 카라마조프 형제의 이미지가 강렬히 떠올랐다. 대심문관 이야기도 생각났다.
Alexei Sundukov, Queue 역시 상트 페테르부르크 러시아 박물관 소재. 내겐 러시아 박물관의 강렬한 첫인상이었던 바로 그 그림. 소실점이 화면 제일 끄트머리에 있는 아주 특이한 구도로 단번에 시선을 사로잡는다. 뭐든 구하려면 한없이 줄을 서서 몇 시간이고 기다려야 했다는 소비에트 시대 생활상을 한큐에 보여주고 있다. 이덕형 교수의 《빛의 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 읽으면서 이 줄서기와 관련된 재밌는 부분 인용해 본다. "일단 줄부터 서고 보자고 생각했던 사람들이 햄버거를 사 먹었는지는 모르겠지만 90년대 초 여름 어느 날, 나는 햄버거를 사기 위해 길게 늘어선 줄에 섞여 있었다. 내 앞의 젊은 남자 하나가 기다리는 것이 짜증스러웠는지 계속 투덜거리더니 러시아를 이 지경으로 만든 고르바초프를 때..